자취일상

청년월세지원 12개월 20만원씩 지원 정보

또또미 2023. 3. 31. 07:15

자취 정보 - 청년월세지원사업

제가 처음 자취 준비를 하면서 제일 먼저 알아본 게 국가에서 지원해 주는 사업이 없나 여부였습니다. 부모님 집에 함께 살다가 자취를 하려고 보니 모아둔 돈도 많이 없는 것 같고, 지원받을 수 있는 것들은 최대한 받으면 도움이 될 것 같았어요. 청년들을 위한 사업이 있을 것 같아 찾아보던 중 역시나 국토교통부에서 청년월세를 한시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 있더라고요. 저는 안타깝게도 기준에 충족하지 못해서 신청하지 못했지만 정보 공유해 드리려고 글을 써봅니다. 오늘은 이 월세지원 정보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출처: 국토교통부

 

청년월세지원사업은 저소득 독립청년에게 최대로 20만 원씩 일 년을 지원한다고 합니다. 20만 원씩 지원하면 12 X 20 = 240만 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최대로 받을 수 있는 거니까 지원대상에 해당되시면 꼭 신청하셔야 할 것 같아요. 한 달에 20만 원씩 지원받으면 특히 이제 막 자취 시작한 분들에게는 적잖이 도움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지원대상은 부모와 떨어져 별도로 거주하는 만 19세~만 34세 청년에 해당됩니다.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및 월세 60만 원 이하인 주택에 거주하는 청년들이 신청할 수 있습니다. 청년 본인뿐만이 아니라 원가구의 소득이나 재산도 검토 후에 지원한다고 하니 증빙 서류 제출할 때에 제출할 서류들이 있겠습니다. 제가 실제로 복지로 앱에서 혼자 신청하다보니 가족관계증명서부터 부모님 재산액 파악을 위한 서류들이 필요한 게 좀 많았습니다. 그래서 신청하실 분들은 혼자 신청하시지 마시고 가까운 주민센터에 가셔서 도움받으셔서 신청하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소득요건은 청년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1인 가구 기준 116만 원/월)이고, 원가구의 경우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3인 가구 기준 419만 원/월)에 해당합니다. 재산은 청년의 경우 1억 7백만 원 이하여야 신청이 가능하며, 원가구는 3억 8천만 원 이하여야 신청이 가능합니다.

 

청년월세지원사업 신청시기

2022년 8월 하순 ~ 2023년 8월 1년 동안 수시로 신청이 가능합니다. 복지로 누리집 또는 앱으로 신청하거나 주소지의 구청이나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에 가셔서 방문신청 하셔도 됩니다.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미래를 준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시적으로 운영하는 사업이라고 하니, 대상에 해당되시는 분들은 8월 전에 꼭 신청하셔서 혜택 받으시기 바랍니다. 앞으로도 청년이나 자취 독립하신 분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알게되면 이렇게 글로 적어서 공유드리려고 합니다. 아무것도 알아보지 않고 가만히 있으면 먼저 와서 도와주지 않는것 같습니다. 도움이 필요하면 내가 먼저 나서서 적극적으로 알아보는 태도가 중요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